본문 바로가기
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- 인프런

API

by step 1 2022. 8. 4.
반응형

컨트롤러 작성

@GetMapping("hello-string")
@ResponseBody
public String helloString(@RequestParam("name") String name) {
    return "hello " + name; // "hello spring"
}

인텔리제이 자동완성 단축키: ctrl + alt + enter

 

실행

 

@ResponseBody: 리턴 데이터를 그대로를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어노테이션

 

json으로 데이터 보여주는 방법 (key, value로 구성되어있다.)

컨트롤러 작성

@GetMapping("hello-api")
@ResponseBody
public Hello helloApi(@RequestParam("name") String name) {
    Hello hello = new Hello();
    hello.setName(name);
    return hello;
}

static class Hello {
    private String name;

    public  String getName() {
        return name;
    }

    public void setName(String name) {
        this.name = name;
    }
}

인텔리제이 getter, setter 단축키: ctrl + insert

 

실행

 

xml방식은 태그를 열고 닫고 해주는 것이 불편하고 json은 간단해서 거의 json방식으로 하는게 기본이라고 한다.

 

controller에서 객체가 리턴되면 json 형태로 변환하여 반환하게 된다.

 

@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일경우 return이 객체일때는 JosonConverter가 동작 

문자일 경우에는 StringConverter가 동작한다.

스프링부트 내부 설정에 의해

 

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하여 json말고 xml로도 반환할 수 있다고 한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