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프론트엔드/JavaScript56

화살표 함수 예제 화살표 함수: () => {} 축약형으로 입력 할 수 있다. 2개이상의 매개변수 입력시 반드시 소괄호()를 입력해줘야 한다. 객체 데이터 또한 반환이 가능한데 그때에는 소괄호를 먼저 결과쪽에 감싸주고 중괄호를 입력해준다. // 화살표 함수 // () => {} vs function () {} const double = function (x) { return x * 2 } console.log('double: ', double(7)) const doubleArrow = (x) => { return x * 2 } console.log('doubleArrow: ', doubleArrow(5)) // 화살표 함수는 축약형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const doubleArrow2 = x => x * 8 console.. 2021. 5. 26.
함수 arguments 객체 사용 함수에서 매개변수가 너무 많아 나열하기 힘들 때 사용하기 적합 function sum() { console.log(arguments) return arguments[0] + arguments[1] + arguments[2] + arguments[3] } console.log(sum(1, 5, 9,4)) 2021. 5. 26.
형 변환 형 변환(Type conversion) Truthy (참 같은 값) true, {}, [], 1, 2, 'false', -11, '3.44'..... Falsy (거짓 같은 값) false, '', null, undefined, 0 -0, NaN // 형 변환(Type conversion) // Truthy (참 같은 값) // true, {}, [], 1, 2, 'false', -11, '3.44'..... // Falsy (거짓 같은 값) // false, '', null, undefined, 0 -0, NaN const a = 1; const b = '1'; // 일치 연산자 false console.log(a === b) // 동등 연산자(형변환이 일어난다) true // 안쓰는 것을 권장한다. .. 2021. 5. 26.
변수 유효범위 유효범위: 변수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 var: 함수레벨의 유효범위를 가진다. const, let: 블록레벨의 유효범위를 가진다. var를 사용할 경우 의도치 않은 값을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에 const, let 변수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. // 번수 유효범위(Variable Scope) // var, let, const // let, const: 블록레벨의 유효범위를 가진다 // var: 함수레벨의 유효범위를 가진다 function scope() { if (true) { const a = 123; console.log(a) var b = 222; } console.log(b) // console.log(a) //에러발생 } // console.log(b) //에러발생 scope() 2021. 5. 26.
반복문 for index.html (defer를 이용해서 main.js파일이 html이 모두 생성된 다음에 작동하도록 설정) Hello world! main.js // 반복문(For statement) // for (시작조건; 종료조건; 변화조건) {} // ul태그 요소를 가져온다. const ulEl = document.querySelector('ul') console.log(ulEl) // i++: 반복 한 번 돌고 1씩 증가 for (let i = 0; i < 3; i++) { // console.log(i) // li 태그 생성 const li = document.createElement('li') // 보간 처리 // li 태그 내용 입력 li.textContent = `list-${i + 1}` //짝수를.. 2021. 5. 26.
조건문 switch 일반적으로 if 문을 더 많이 사용하지만 조건이 어떠한 값으로 딱 떨어질 때 더 적합할 수 도 있다 // 조건이 어떠한 값으로 딱 떨어질때 더 적합하다 switch (a) { case 0: console.log('a is 0') break; case 2: console.log('a is 2') break; case 3: console.log('a is 3') break; default: console.log('rest...') } 어떠한 조건이 끝나면 반드시 break; 를 주어서 조건절을 나갈수 있도록 해주어야한다. 안 그러면 그 밑에 조건도 계속 실행 되어진다. 2021. 5. 26.